더 이상 대한민국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최근 잦은 지진 발생으로 많은 분들이 지진에 대한 궁금증과 불안감을 느끼고 계실 겁니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흔히 듣는 '규모'와 실제로 느껴지는 '진도'는 어떻게 다른 걸까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지진은 왜 발생하는 걸까요?
{getToc} $title={목차}
❓ 지진 상식 핵심 키워드: 규모, 진도, 발생 원인
지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가장 중요한 세 가지 키워드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 규모 (Magnitude): 지진 자체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
- 진도 (Intensity): 특정 장소에서 사람이 느끼는 흔들림의 정도
- 대한민국 지진 원인
📊 규모(Magnitude) vs 진도(Intensity)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지진 규모와 지진 진도! 과연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구분 | 규모 (Magnitude) | 진도 (Intensity) |
---|---|---|
정의 | 지진이 가진 에너지의 크기 | 특정 장소에서 느껴지는 지진의 세기 (흔들림 정도) |
표현 방식 | 숫자 (예: 3.8) | 로마자 (예: IV) |
특징 | 어디서 측정해도 같은 값, 1.0 증가 시 에너지 약 32배 증가 | 같은 지진이라도 위치, 지반, 건물 상태에 따라 다르게 느껴짐 |
예시 | 2016년 경주 지진 규모 5.8 | 경주에서 강한 진동 (높은 진도), 서울에서 약한 진동 (낮은 진도) |
예를 들어,
2016년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5.8의 강력한 지진이었으며, 당시 경주 지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강한 흔들림, 즉 높은 진도를 느꼈습니다. 하지만 서울과 같이 먼 지역에서는 흔들림이 약하게 느껴져 낮은 진도를 기록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kma.g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규모는 지진의 '본질적인 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면 진도는 그 힘이 특정 장소에 도달했을 때 '얼마나 세게 느껴지는지'를 나타냅니다.
마치 똑같은 크기의 돌을 던져도 가까이 있는 사람은 세게 맞고, 멀리 있는 사람은 약하게 맞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inAds}
표현수치와 피해 정도
규모 (Magnitude)
규모는 소수점 한 자리 숫자로 표현됩니다 (예: 3.5, 5.8).
- 로그 스케일: 규모 1 증가 시 에너지 약 32배 증가.
일반적인 예상 피해:
- 규모 3~4:
진동 감지, 경미한 피해 (창문/그릇 덜컹). - 규모 4~5:
가구 흔들림, 약한 건물 경미한 손상. - 규모 5~6:
부실 건물 상당 손상, 튼튼 건물 일부 손상, 인명 피해 가능성 증가 (경주 지진 5.8). - 규모 6~7:
넓은 지역 심각한 피해, 건물 붕괴 가능, 인명 피해 증가. - 규모 7 이상:
광범위하고 파괴적인 피해, 대부분 건물 붕괴, 대규모 인명 피해 가능.
📌 주의:
실제 피해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진도 (Intensity)
진도는 특정 장소에서 느껴지는 흔들림의 정도를 나타내며, 로마자로 표현됩니다. 수정 메르칼리 진도 (MMI) 계급을 사용하며, I부터 XII까지 12단계로 나뉩니다.
진도 (MMI) | 주요 내용 |
---|---|
I | 거의 느껴지지 않음 |
II | 소수의 사람만 느낌 |
III | 실내에서 뚜렷이 느껴짐, 매달린 물건 약간 흔들림 |
IV | 많은 사람이 느끼고, 그릇/창문 덜컹거림 |
V | 거의 모든 사람이 느끼고, 잠든 사람도 깸, 불안정한 물건 넘어짐 |
VI | 모든 사람이 느끼고, 가구 움직임, 약한 건물 약간 손상 |
VII | 부실한 건물 상당한 손상, 튼튼한 건물 약한 손상 |
VIII | 튼튼한 건물 심한 손상, 부실한 건물 붕괴 |
IX | 모든 건물 심하게 손상 또는 일부 붕괴, 지반 균열 |
X | 대부분 건물 파괴, 지면에 넓은 균열 발생 |
XI | 거의 모든 구조물 붕괴, 넓은 범위 지반 갈라짐/내려앉음 |
XII | 모든 것 파괴, 지표면 큰 변화, 파괴력으로 지상의 물체가 공중으로 비산 |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우리나라 지진 발생 원인: 왜 한반도도 안전하지 않을까?
과거에는 우리나라가 일본이나 중국 등 주변 나라에 비해 지진에 안전한 나라로 인식되었지만, 최근 경주 지진(규모 5.8)과 포항 지진(규모 5.4)으로 인해 더 이상 안심할 수 없다는 경각심이 높아졌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 판 내부 지진: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의 여러 판 (태평양판, 필리핀판, 인도판)들의 움직임으로 인해 압력을 받습니다. - 지각 변형:
이러한 판들의 움직임이 우리나라 땅속에 힘을 축적시키고, 이 힘이 한계를 넘어서는 순간 땅이 갈라지면서 지진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inAds}
자주 묻는 지진 궁금증 Q&A
Q1. 전진, 본진, 여진은 무엇인가요?
A. 큰 규모의 지진(본진)이 발생하기 전후로 진원 부근에서 여러 번의 지진이 발생합니다.
- 전진(큰 지진):
본진 전에 발생하는 작은 규모의 지진이며, 본진은 특정 진원 부근에서 발생하는 지진 중 가장 큰 규모의 지진입니다. 여진은 본진 이후에 발생하는 작은 규모의 지진을 말합니다. - 여진:
은 본진의 규모에 따라 발생 횟수와 기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지진은 암반의 움직임이 멈출 때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일어날 수 있습니다.
Q2. 지진은 예측할 수 있나요?
A. 안타깝게도 현재 과학 기술로는 지진 발생 시기와 규모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지진 전조 현상이라고 알려진 여러 현상들이 있지만,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한 인과관계가 증명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을 숙지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3. 지진 피해는 어느 규모부터 발생하나요?
A. 일반적으로 지진 피해를 일으키는 지진의 규모가 특정 값으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지진 발생 위치로부터의 거리, 발생 깊이, 구조물의 내구성이나 시설 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피해 정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작은 규모의 지진이라도 얕은 깊이에서 발생하거나 취약한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면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4. 실내에서 지진을 느끼면 왜 탁자 아래로 숨어야 하나요?
A. 지진 발생 시에는 깨진 유리창, 떨어지는 물건 및 벽돌 등에 맞아 다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바로 대피하는 것보다 튼튼한 탁자나 책상 아래로 우선 몸을 숨겨 머리와 몸을 보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흔들림이 멈춘 후 안전하게 밖으로 대피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Q5. 지진이 발생하면 건물 밖으로 바로 나가야 하나요?
A. 지진 발생 시에는 우선 낙하물로부터 몸과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튼튼한 탁자 아래 등으로 피신하여 안전을 확보한 후, 흔들림이 멈추면 침착하게 건물 밖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다만, 내진 설계가 되어 있는 건물은 지진에 대한 안전성이 높을 수 있으므로, 무리하게 대피하기보다는 진동이 멈춘 후 주변 상황을 살피고 대처하는 것이 좋습니다.
Q6. 지진으로 불이 났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A. 화재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는 즉시 "불이야"라고 크게 외쳐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후 침착하게 소화기나 물 등을 이용하여 초기 진화에 힘쓰고, 안전하게 대피해야 합니다.
지진 발생 시에는 도로가 손상되어 소방차 출동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평소 소화기 사용법을 숙지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inAds}
Q7. 지진 발생 후 넓은 공간으로 대피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넓은 공간으로 대피한 후에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켜야 합니다. 대규모 지진으로 주택 등에 피해가 발생하여 귀가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임시 주거 시설로 대피하면 됩니다.
Q8. 우리 동네 지진 대피 장소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진 발생 시 주민들이 일시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지진 옥외대피장소"와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를 지정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해당 정보는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리 거주 지역의 지진 대피 장소를 확인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전을 위한 첫걸음: 지진 대비, 지금부터 시작하세요!
지진은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이지만, 평소에 대비하고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을 숙지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정보들을 바탕으로 지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가족과 함께 안전 대책을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