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만기 후 현명한 선택법: 인출, 연장, 연금 전환 완벽 비교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절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만들었을 계좌입니다.
ETF, 예금, 펀드 등을 하나의 계좌에서 굴릴 수 있고, 수익에 대해 세금을 깎아주는 장점이 크죠.

하지만 이 ISA도 언젠가는 ‘만기’가 옵니다.
그때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멈춰 섭니다.

  • "지금 이 돈, 어떻게 해야 하지?"
  • "안 건드리면 뭐가 손해일까?"
  • "연금 계좌로 옮기면 뭐가 더 좋은 건데?"

이 글은 그 궁금증을 해결해 드리기 위해 썼습니다.
ISA 만기 후, 선택지는 3가지.
지금부터 각각의 상황과 선택지, 세금 혜택까지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드릴게요.

{getToc} $title={목차}

ISA 만기 후 자산 운용 방향을 상징하는 3가지 선택 일러스트

선택 1. 지금 당장 돈이 필요하다면

ISA 전액 인출을 상징하는 금고 속 자산 일러스트

➡ ISA 자금을 ‘전부 인출’하세요

✔️ 이런 경우에 좋습니다:

  • 집 계약금, 학비, 이사비처럼 지금 당장 큰돈이 필요한 경우
  • 더 이상 이 계좌에 돈을 묶어둘 이유가 없는 경우

✔️ 어떻게 되는 건가요?

  • ISA에 들어 있던 돈(원금 + 수익)을 한 번에 찾을 수 있습니다.
  • 이때 세금 혜택은 그대로 적용돼요.
    • 예: 일반형은 최대 2,000만 원까지 수익 비과세
    • 초과 수익은 9.9%의 저율 과세만 적용됨 (보통 세금은 15.4%)

📌 중요한 점
전액 인출하면 이 ISA 계좌는 완전히 종료됩니다.
세금 혜택도 끝나고, 이 계좌는 다시 쓸 수 없어요.

그럼 다시 만들 수는 있을까?
네! 19세 이상, 국내 거주자라면 다음 영업일부터 바로 재가입 가능합니다.
예전에는 3년 대기 규정이 있었지만, 지금은 적용되지 않아요.

{inAds}

선택 2. 당장은 안 쓰고 계속 굴리고 싶다면

ISA 계좌 연장을 상징하는 복리 기어와 성장 그래프 일러스트

➡ ‘계좌 연장’을 선택하세요

✔️ 이런 경우에 좋습니다:

  • 아직 돈 쓸 일이 없고, 계좌 안에서 투자를 계속 이어가고 싶은 경우
  • ETF나 펀드 등으로 복리의 힘을 더 누리고 싶은 경우

✔️ 어떤 식으로 연장되나요?

  • ISA는 기본 유지 기간(3년, 5년 등)이 끝나면
    자동으로 연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따로 해지나 인출 신청 안 하면, 그냥 연장되는 셈이에요.

✔️ 세금 혜택은 어떻게 되나요?

  • 연장해도 기존처럼 비과세/저율과세 혜택은 그대로 유지
  • 배당금·분배금이 생기면, 다시 재투자하는 것도 가능

📌 주의할 점

  • 만기 이후엔 새 돈은 못 넣습니다.
    이미 있는 돈으로만 투자해야 해요.
  • “나 연금 계좌로 옮기고 싶은데요?”라는 사람은
    만기 전에 미리 금융사에 알려야 합니다.

👖 TIP:
아무 생각 없이 두면 자동 연장되니,
만기 알림 받으면 "인출할지, 옮길지" 꼭 미리 정하세요.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선택 3. 은퇴 자금으로 활용하고 싶다면

ISA 자산의 연금 계좌 전환을 시각화한 세금 혜택 흐름 이미지

➡ ‘연금 계좌로 전환’하세요

✔️ 이런 경우에 좋습니다:

  • 지금 당장 돈 쓸 계획은 없음
  • 대신 이 돈을 은퇴 이후까지 굴리며 세금 혜택을 더 받고 싶은 경우

✔️ 구체적으로 어떤 연금 계좌?

  • 연금저축 계좌
  •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

✔️ 전환 시 장점 3가지:

  1. 세금 없이 이동 가능
    • ISA에서 수익이 났더라도, 전환 시엔 세금 0원
  2.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 추가 혜택
    • 보통 연 900만 원까지 공제되는데,
      ISA 전환액은 300만 원 한도로 추가 공제 가능
    • 공제율은 13.2~16.5%
  3. 은퇴 후 인출 시 세율이 매우 낮음
    • 일반 소득세 15.4% 연금 소득세 3.3~5.5% 수준

📌 주의할 점

  • 옮긴 자금은 만 55세 이후에나 찾을 수 있습니다.
    중간에 현금화는 거의 어렵다고 봐야 해요.
  • 연금 계좌 공제 한도(연 300만 원)를 초과하면 공제는 안 되지만,
    그래도 세금 없이 이동 가능한 건 여전히 장점입니다.

{inAds}

정리: 나한테 맞는 선택은 뭐지?

선택지 이런 사람에게 세금 혜택 유의사항
전액 인출 당장 돈이 필요한 사람 비과세·저율과세 적용 계좌 종료,
새 ISA는 재가입해야
계좌 연장 투자 계속할 사람 기존 세금 혜택 유지 추가 납입 불가,
자동 연장 주의
연금 전환 은퇴 준비하는 사람 연말정산 공제 + 낮은 세율 55세 전 인출 어려움

마지막 체크리스트

  • 만기일이 다가오고 있나요?
    금융사에서 알림 문자 오는 시점에 플랜 세우기
  • 전부 찾을지, 일부만 찾고 나머지는 연금으로 옮길지
    조합도 가능
  • 세액공제 챙기려면?
    ➡ 연금 계좌로 옮길 때 300만 원 한도 꼭 체크!

ISA 만기는 단순히 ‘계좌 끝’이 아니라,
당신의 자산을 어떻게 굴릴지 다시 정하는 기회입니다.
세금 혜택을 그냥 놓치지 말고, 내 상황에 맞는 실전 선택을 하세요.

{getCard} $type={post} $title={Card Title}

다음 이전